여우난골족(族) - 백석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머니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 나무가 많은 신리(新理) 고모 고모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무 고무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동이
육십리(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끝에 설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무 고무의 딸 홍녀(洪女) 아들 흥동이 작은 흥동이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지를 좋아하는 삼촌 삼촌엄매 사촌누이 사촌 동생들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찰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은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 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이이들은 외양간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 가는 집안에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기리 윗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우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릇목 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시누이 동서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틈으로 장지 문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 고형진<백석 시 바로 읽기>(현대문학, 2006)
여우난골족(백석)
* 여우난골족 : 여우가 나오는 마을(여우난골) 부근에 사는 일가친척들
이 시는 명절날 여우난골 부근에 사는 일가친척들이 큰집에 모여 하루를 보내는 모습을 어린 화자의 눈을 통해 서사적으로 그려 내고 있다. 어린 화자가 명절을 맞아 집에서 큰집으로 가는 시점부터 다음 날 아침까지의 이야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묘사하면서 고향의 훈훈한 정취와 일가친척의 넉넉한 인정, 풍요로운 가족 공동체의 모습을 그려 내고 있다. 또한 토속적인 소재와 평안도 방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고향’이라는 원초적 공간에 대한 그리움과 공동체적 삶에 대한 간절한 회복의 소망을 형상화하고 있다.
* 진할아버지 진할머니 : 친할아버지와 친할머니
(예전에 ‘진’이라는 말을 붙이면 할머니 쪽 친척을 말했습니다. 예) 진증조할머니 : 할머니의 어머니)
* 이녀 : 평북지방에서 아이들을 지칭할 때 쓰는 애칭
* 벌 : 매우 넓고 평평한 땅 * 고무 : 고모, 아버지의 누이
* 토방돌 : 집채의 낙수 고랑 안쪽으로 돌려가며 놓은 돌. 섬돌.
* 안간 : 안방. * 저녁술 : 저녁밥. 저녁숟갈.
* 별자국 : 천연두의 증상으로 남은 다발성 흉터. 곰보자국
* 포족족 : 빛깔이 고르지 않고 푸른 기운이 돎
* 매감탕 : 엿을 고아 내거나 메주를 쑤어 낸 솥에 남은 진한 갈색의 물
* 오리치 : 평북 지역에서 오리를 잡는 데 쓰는 올가미
* 반디젓 : 밴댕이젓 * 삼촌 엄매 : 숙모(삼춘의 엄마, 다시 말해서 할머니가 아니랍니다)
* 숨굴막질 : 숨바꼭질 * 아르간 : 아랫간, 온돌방에서 아궁이 쪽이 가까운 부분
* 조아질 : 부질어벗이 이것저것 집적거리며 해찰을 부리는 일. 평안도에서는 아이들의 공기놀이를 이렇게 부르기도 함. * 쌈방이 : 주사위
* 바리깨돌림, 호박떼기, 제비손이구손이 : 아이들 놀이의 일종 (바리깨돌림 : 주발 뚜껑을 돌리며 노는 아동들의 유희. / 호박떼기 : 아이들의 놀이. / 제비손이구손이 : 다리를 마주끼고 손으로 다리를 차례로 세며, ‘한알 때 두알 때 상사네 네비 오드득 뽀드득 제빈손이구손이 종제비 빠땅’ 이라 부르는 유희.)
* 화디 : 등잔을 얹는 기구. 나무나 놋쇠 같은 것으로 촛대 비슷하게 만든 등잔을 얹어 놓은 기구. * 사기방등 : 사기로 만든 방에 쓰는 등 * 홍게닭 : 토종닭 * 텅납새 : 처마의 안쪽 지붕, 다른 말로 추녀
* 동세 : 동서(同壻) * 무이징게국 : 새우에 무를 썰어 넣어 끓인 국
===
명절에 이렇게 대가족이 모이기는 어릴 적, 뿐인 것 같다.
지금은 거의 모이기가 힘든 시대에
명절이란 무엇일까?
'독서이야기 > 익어가는 하루(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꽃 - 함민복 (0) | 2020.07.11 |
---|---|
시집(詩集) - 윤석위 (0) | 2020.07.06 |
책 읽으며 졸기 - 김기택 (0) | 2020.07.05 |
네가 그리우면 나는 울었다 - 고정희 (0) | 2020.07.03 |
팔자 - 반칠환 (0) | 2020.07.02 |